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0

스트레스의 두 가지 유형: 스트레스 대처와 스트레스 향유하기 사람들은 직장에서 각종 다양한 직무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스트레스는 신체적, 심리적인 자극에 의한 개인적인 반응이며, 다양한 요구들(대인관계, 직무환경, 작업장 내의 규칙 등)와 갈등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직장에서 경험하는 직무 스트레스의 두 가지 유형인 디스트레스와 유스트레스 개념 및 세부 요인들을 살펴본다. Selye(1976)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상황의 요구에 대한 신체의 비특이적 반응이다. 스트레스에는 건강한 스트레스(유스트레스)와 병원성 스트레스(디스트레스)의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디스트레스(distress)은 부정적인 심리적 상태의 존재로 인해 드러난 스트레스의 원인에 대한 부정적인 심리적 반응이며, 유스레스(eustress)는 긍정적인 심리적 상태의 존재로 인해 나타나는 긍정적인 심리적.. 2021. 10. 9.
인간의 동기를 어떻게 연구하고 이해할 수 있을까? 인간의 동기를 어떻게 연구하고 이해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답으로 동기이론의 연구 역사와 발전 방향을 정리하고 내성법을 활용하도록 권장한 논문이 있어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 내용은 다음 논문에서 동기이론의 발전을 위해 6가지 권장한 사항 중 한가지 이다. 동기이론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합니까? 21세기를 위한 6가지 권장 사항 What should we do about motivation theory? Six recommend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저자: Edwin A. Locke and Gary P. Latham 소스: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9, No. 3 (Jul., 2004), pp. 388-403 우리는 기.. 2021. 10. 9.
조직심리학: 조직에서 개인과 집단의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 조직심리전공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회사생활 하면서 조직과 개인의 다양한 현상들에 '왜 그럴까, 왜 이렇게 될까, 이것이 최선인가, 어떤 다른 방법이 있을까' 등 고민과 의문이 참 많았습니다. 결국, 늦은 나이지만 회사를 퇴사하고 대학원에서 조직심리학을 전공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심리학 중에서도 조직심리학은 '조직과 개인의 상생을 위한 학문'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조직심리학 전공에 관심있는 지망생들을 위해 간략하게 학문의 특성을 소개하고 진로 관련 팁(Tip)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조직심리학이란? 조직심리학은 조직 장면에서 개인과 집단의 행동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과학적인 방법을 활용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이러한 지식은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되어 조직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도우며, 나아가 조직의 실제적인 문제.. 2021. 10. 9.
바다와 육지 사이, 생동감의 길이 내가 걸어가는 중용의 길 2019년 2월, 조직상담 동문들과 OOO 여행을 갔을 때, 생명력이 넘치던 그 모습, 깊고 깊은 힘의 원천을 느끼며 하염없이 바라보았던 그 바다 ! 그리고 다채로운 육지! 나는 그 사이로 난 구불구불 생동감의 길을 걸어가련다. 2021. 10.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