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사무직, 경남은 제조직, 제주도는 서비스직?"
지역별 산업 구조에 따라 취업 트렌드도 크게 달라집니다.
2025년 2월 기준, 한국고용정보원 취업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직업별, 지역별 취업 현황을 분석해보면, 각 지역의 강점과 산업 방향성이 선명하게 드러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총 9개 대직종과 17개 시·도별 취업자 수를 비교 분석하여 어떤 직업이 어디에서 잘 풀리고 있는지를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 목차
- 전체 취업자 수 상위 지역
- 직업 대분류별(9종) 취업자 수 순위
- 직업 중분류별(35종) 취업자 수 순위
- 주요 직업별 지역 특징 분석
- 지역별 산업 특화 요약
- 결론 및 시사점
1. 전체 취업자 수 상위 지역
순위 | 지역 | 전체 취업자수 |
1위 | 경기도 | 32,999명 |
2위 | 서울특별시 | 21,051명 |
3위 | 경상남도 | 8,314명 |
4위 | 전라북도 | 6,249명 |
5위 | 경상북도 | 6,303명 |
✅ Insight
- 경기도와 서울이 전체 취업자의 43% 이상을 차지
- 제조·정보통신·연구개발직 중심의 수도권 집중 현상 여전
2. 직업 대분류별 취업자 수 순위
직업 대분류(9종) | 전체(인원수) |
0경영·사무·금융·보험직 | 25,945 |
1연구직 및 공학 기술직 | 11,010 |
2교육·법률·사회복지·경찰·소방직 및 군인 | 10,686 |
3보건·의료직 | 6,702 |
4예술·디자인·방송·스포츠직 | 4,212 |
5미용·여행·숙박·음식·경비·청소직 | 38,474 |
6영업·판매·운전·운송직 | 8,170 |
7건설·채굴직 | 3,144 |
8설치·정비·생산직 | 17,186 |
9농림어업직 | 1,417 |
합계 | 126,946 |
✅ Insight
- 서비스직(청소, 경비, 돌봄 등)과 단순 생산직의 고용 비중이 매우 높음
- 이는 현장 인력 수요 지속과 고령화 구조 속 서비스 수요 증가를 반영
3. 직업 중분류별(35종) 취업자 수 순위
✅ Insight
순위 | 직업군 | 구성비율 | 의미 |
1위 | 경영·행정·사무직 | 17.4% | 전통적 인기직, 수도권 중심 |
2위 | 청소·개인서비스직 | 10.7% | 고령층/저학력 일자리 집중 |
3위 | 돌봄 서비스직 | 8.9% | 초고령사회 진입 반영 |
4위 | 사회복지·종교직 | 7.2% | 공공복지 수요 증가 |
5위 | 보건의료직 | 5.3% | 안정성과 지속성 중심 직종 |
- 2025년 2월 취업시장에서는 사무직과 서비스직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음
- 전문 R&D 직군 비중은 낮지만, 복지·청소·돌봄 등 생활 밀착형 서비스 일자리가 급증
- 저출산·고령화와 여성 고용률 증가라는 사회 구조 변화가 직업 구조에 명확히 반영
4. 주요 직업별 지역 특징 분석
4.1 경영·사무직: 서울과 경기도 압도적
- 서울: 4,124명
- 경기도: 5,325명
- 특징: 공공기관, 본사 집결, 고학력자 중심 지역
4.2 제조·생산직: 경남, 경기, 경북 강세
- 기계설치직: 경기도(762), 경남(415)
- 전기전자직: 경기(1,028), 경북(298)
- 제조 단순직: 경기(1,110), 경남(568)
✅ 지방 제조업 기반이 강한 지역에서 여전히 생산직 채용이 중심임
4.3 보건·의료직: 경기·서울 중심
- 경기: 1,390명
- 서울: 823명
- 경남: 569명
✅ 보건소, 요양기관, 병원 중심 도시일수록 취업자 수 높음
4.4 청소·돌봄·경비 서비스직: 전국 분포
- 청소서비스: 전국 고르게 분포 (경기 4,706, 서울 2,897)
- 돌봄서비스: 경기 3,537 / 서울 1,615 / 경남 729
- 경비직: 경기 2,461 / 서울 1,307
✅ 고령층 재취업과 연결되어 전국적으로 꾸준한 수요 존재
4.5 건설·채굴직: 경기, 전라권 비중 높음
- 경기: 922
- 전북: 130
- 전남: 138
- 경남: 186
✅ 지방 기반의 SOC 인프라 사업과 관련됨
5. 지역별 산업 특화 요약
지역 | 주요 취업 분야 |
서울 | 사무직, 경영직, 의료직 |
경기도 | 전 직종 분산 + 생산직, 연구개발 |
경상남도 | 제조, 단순 생산, 돌봄·경비 |
대구 | 서비스직, 여성·고령층 중심 |
인천 | 청소, 경비, 운송직 |
전북·전남 | 농업·건설직 다수, 지역 서비스 혼합 |
제주도 | 숙박·여행, 서비스직 비중 높음 |
6. 결론 및 시사점
- 직업 선택은 지역 특성과 산업 구조를 반영해야 함
- 수도권은 여전히 사무직/전문직 중심
- 제조 및 서비스직은 지방 고용시장의 핵심
- 고령층의 단순서비스 재취업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정책 방향에도 영향
* 한국고용정보원, 2025년 2월 통계자료 download
#2025년 고용동향, #지역별 취업, #직업별 취업자수, #청소직 취업, #제조업 채용, #사무직, #경기도 일자리, #고령층 취업, #한국고용정보원 통계
728x90
'데이터 분석 &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취업 트렌드 분석|지역별 동향 (0) | 2025.04.13 |
---|---|
2025년 취업 트렌드 분석|고용형태, 학력, 연령, 성별 취업 동향 (0) | 2025.04.13 |
미국의 데이터 유통(거래) 시장 활성화 사례: 엑시엄(Acxiom) (0) | 2024.04.04 |
17개 시도별 학교,학생,교원 관련 통계 (0) | 2023.04.17 |
SPSS 선형 회귀분석 할때, 잔차의 정규성과 등분산성을 평가하는 방법 (0) | 2023.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