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이터 분석 & 활용

2025년 취업 트렌드 분석|지역별 동향

by 큐비(Quby) 2025. 4. 13.

📍 2025년 2월 지역별 취업 동향 분석

한국고용정보원의 2025년 2월 취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역별 특징을 정리해 분석해드리겠습니다.
분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 취업자 수
  • 성별 비율
  • 고용형태 (정규직 중심 or 계약직 중심)
  • 연령대 분포 (특정 연령층이 두드러지는지)
  • 학력 수준 (고졸/대졸 이상 비중 등)

1. 지역별 전체 취업자 수 Top 5

 

순위 지역 전체 취업자 수 주요 특징 요약
1 경기도 32,744명 수도권 최대 규모, 고졸+대졸 비중 높음
2 서울특별시 21,133명 여성·대졸·정규직 취업 많음
3 경상남도 8,835명 고령층 + 여성 비중 높음
4 인천광역시 8,460명 50~60대 위주 취업 증가
5 부산광역시 9,841명 고졸+정규직 중심의 전통적 산업 구조

 

2.  주요 지역별 트렌드 요약

 

📍 서울특별시

  • 총 취업자 수: 21,133명
  • 여성 비중: 11,914명(약 56.4%)
  • 대졸 이상 학력자 많음: 대졸 7,339명, 대학원 이상 932명
  • 특징:
    여성 취업자 비율 전국 최고 수준
    고학력+정규직 선호 뚜렷
    ✅ 서비스·행정·교육 중심 산업 구조 반영

📍 경기도

  • 총 취업자 수: 32,744명 (전국 최대)
  • 정규직 취업자 수: 15,253명
  • 고졸 이상 학력자 비중 매우 높음
  • 특징:
    취업자 수 자체가 가장 많음 (산업 인프라 집중 영향)
    정규직 + 전문대졸 + 대졸 채용 비중 고르게 분포
    ✅ 60세 이상 고령층도 10,214명으로 최다

📍 부산광역시

  • 총 취업자 수: 9,841명
  • 고졸 학력자 수: 3,947명
  • 정규직 취업자 수: 4,112명
  • 특징:
    전통 제조·서비스 업종 중심, 고졸 인력 선호
    ✅ 50대 이상 중장년층 취업자 비중 높음

📍 대구광역시

  • 총 취업자 수: 5,559명
  • 여성 취업자 수: 3,287명 (약 59.1%)
  • 고졸 이하 학력자 비중 높음
  • 특징:
    여성 비중 전국 최고 수준 중 하나
    중졸·고졸 채용 비중 크며, 단순서비스 업종이 많음
    저임금 직종 집중 가능성 (정규직 외 고용형태도 많음)

📍 인천광역시

  • 총 취업자 수: 8,460명
  • 정규직 비중: 절반 이상
  • 50대·60대 비중: 3,300명 이상
  • 특징:
    수도권 연계 산업단지 영향
    중장년층 고용 비중 높고, 물류·운수·공단 중심 취업 구조

📍 경상남도

  • 총 취업자 수: 8,835명
  • 60세 이상: 2,153명 (전체의 약 24%)
  • 정규직 취업자 수: 4,659명
  • 특징:
    고령층+정규직 중심의 안정형 취업 구조
    ✅ 제조업·건설업 등 오프라인 기반 산업 영향

2025년 취업 트렌드 분석|지역별 특성 및 동향

3. 지역별 특성 한눈에 요약

2025년 2월, 전국 지역별 취업자 수 및 트렌드 요약

지역 주요 키워드
서울 고학력, 여성 중심, 정규직 선호
경기 전국 최대, 고르게 분포, 고령층 증가
부산 고졸 선호, 중장년 중심 산업
대구 여성 비중 높음, 중졸·고졸 직무 많음
인천 중장년 중심, 수도권 제조·운수업
경남 고령층 중심, 정규직 많음, 제조업 기반

 

 

2025년 2월 연령별 취업자 수


2025년 2월 학력별 취업자 수

 

4. 결론 및 시사점

  • 지역별 산업 구조와 생활권의 차이가 취업 트렌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서울·경기 = 고학력 + 서비스업 중심
  • 부산·경남 = 고졸 + 제조업 기반
  • 대구 = 여성·단순 서비스 업종 강세
  • 고령층은 전 지역에서 빠르게 취업시장에 진입 중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