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2월 지역별 취업 동향 분석
한국고용정보원의 2025년 2월 취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역별 특징을 정리해 분석해드리겠습니다.
분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 취업자 수
- 성별 비율
- 고용형태 (정규직 중심 or 계약직 중심)
- 연령대 분포 (특정 연령층이 두드러지는지)
- 학력 수준 (고졸/대졸 이상 비중 등)
1. 지역별 전체 취업자 수 Top 5
순위 | 지역 | 전체 취업자 수 | 주요 특징 요약 |
1 | 경기도 | 32,744명 | 수도권 최대 규모, 고졸+대졸 비중 높음 |
2 | 서울특별시 | 21,133명 | 여성·대졸·정규직 취업 많음 |
3 | 경상남도 | 8,835명 | 고령층 + 여성 비중 높음 |
4 | 인천광역시 | 8,460명 | 50~60대 위주 취업 증가 |
5 | 부산광역시 | 9,841명 | 고졸+정규직 중심의 전통적 산업 구조 |
2. 주요 지역별 트렌드 요약
📍 서울특별시
- 총 취업자 수: 21,133명
- 여성 비중: 11,914명(약 56.4%)
- 대졸 이상 학력자 많음: 대졸 7,339명, 대학원 이상 932명
- 특징:
✅ 여성 취업자 비율 전국 최고 수준
✅ 고학력+정규직 선호 뚜렷
✅ 서비스·행정·교육 중심 산업 구조 반영
📍 경기도
- 총 취업자 수: 32,744명 (전국 최대)
- 정규직 취업자 수: 15,253명
- 고졸 이상 학력자 비중 매우 높음
- 특징:
✅ 취업자 수 자체가 가장 많음 (산업 인프라 집중 영향)
✅ 정규직 + 전문대졸 + 대졸 채용 비중 고르게 분포
✅ 60세 이상 고령층도 10,214명으로 최다
📍 부산광역시
- 총 취업자 수: 9,841명
- 고졸 학력자 수: 3,947명
- 정규직 취업자 수: 4,112명
- 특징:
✅ 전통 제조·서비스 업종 중심, 고졸 인력 선호
✅ 50대 이상 중장년층 취업자 비중 높음
📍 대구광역시
- 총 취업자 수: 5,559명
- 여성 취업자 수: 3,287명 (약 59.1%)
- 고졸 이하 학력자 비중 높음
- 특징:
✅ 여성 비중 전국 최고 수준 중 하나
✅ 중졸·고졸 채용 비중 크며, 단순서비스 업종이 많음
✅ 저임금 직종 집중 가능성 (정규직 외 고용형태도 많음)
📍 인천광역시
- 총 취업자 수: 8,460명
- 정규직 비중: 절반 이상
- 50대·60대 비중: 3,300명 이상
- 특징:
✅ 수도권 연계 산업단지 영향
✅ 중장년층 고용 비중 높고, 물류·운수·공단 중심 취업 구조
📍 경상남도
- 총 취업자 수: 8,835명
- 60세 이상: 2,153명 (전체의 약 24%)
- 정규직 취업자 수: 4,659명
- 특징:
✅ 고령층+정규직 중심의 안정형 취업 구조
✅ 제조업·건설업 등 오프라인 기반 산업 영향
3. 지역별 특성 한눈에 요약

지역 | 주요 키워드 |
서울 | 고학력, 여성 중심, 정규직 선호 |
경기 | 전국 최대, 고르게 분포, 고령층 증가 |
부산 | 고졸 선호, 중장년 중심 산업 |
대구 | 여성 비중 높음, 중졸·고졸 직무 많음 |
인천 | 중장년 중심, 수도권 제조·운수업 |
경남 | 고령층 중심, 정규직 많음, 제조업 기반 |
4. 결론 및 시사점
- 지역별 산업 구조와 생활권의 차이가 취업 트렌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서울·경기 = 고학력 + 서비스업 중심
- 부산·경남 = 고졸 + 제조업 기반
- 대구 = 여성·단순 서비스 업종 강세
- 고령층은 전 지역에서 빠르게 취업시장에 진입 중
'데이터 분석 &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2월 취업 트렌드 분석: 직업별 특징 및 동향 (1) | 2025.04.13 |
---|---|
2025년 취업 트렌드 분석|고용형태, 학력, 연령, 성별 취업 동향 (0) | 2025.04.13 |
미국의 데이터 유통(거래) 시장 활성화 사례: 엑시엄(Acxiom) (0) | 2024.04.04 |
17개 시도별 학교,학생,교원 관련 통계 (0) | 2023.04.17 |
SPSS 선형 회귀분석 할때, 잔차의 정규성과 등분산성을 평가하는 방법 (0) | 2023.04.07 |
댓글